데이터 스터디/SAS

SAS - 라이브러리 설정, DATA STEP, PROC STEP

케이와이엠 2023. 3. 22. 11:26

네이버 블로그에 정리해두다가 .. 블로그에는 일상글만 남겨두고 싶어서 티스토리로 옮기는 중


 

[기초 공사]

1. 라이브러리 설정해놓기

- 영구 라이브러리 - 임시 라이브러리 - 사용자 라이브러리

기본적으로 6개 라이브러리가 뜨는데 첫 5개는 영구라이브러리 / WORK 파일은 임시 저장 (종료하면 사라짐)

사용자 라이브러리는 LIBNAME으로 만들어내자. 경로 지정한 것과 연결돼 LIBNAME'C:\파일명'

 
참고로 DATA 지정해줄 때는 KUSAS.[데이터셋으로 만들 이름]으로 설정하면 [이름]이라는 데이터셋을 만들었다는 거임
 
INPUT, CARDS 해서 안에 변수랑 값 넣어주는 거고 !

2. DATA STEP/ PROC STEP

-DATA STEP : 데이터 생성 구문 ! 

SAS DATA SET의 생성 및 자료 값의 계산 및 변형 등과 관련된 작업 처리

 

DATA STEP 에 이렇게 넣어주면 WORK 폴더에서 확인가능함.

또, 파일을 볼 수 있는 방법은 총 3가지인데,

1. 탐색기창 들어가서 work 폴더 클릭해서 view table 에서 보기.

2. PROC PRINT 해서 html형식으로 result viewer로 보기

3. list형식으로 출력창에서 보기

 

PROC PRINT 해주면

이렇게 HTML파일로 확인 가능 !

-PROC STEP:

Procedure 기능으로 명령기능 수행

 

means 프로시저 사용 : class는 사용할 계층이고, var은 variable! 평균 낼 연속형 변수를 지정해주는 거

그럼 이거 나옴


[수업시간 예제 - 2장 p50]

 

IF ELSE 문

PROC MEANS data = ex1_1 : 기초통계량 5개 제공

그 다음에 VAR 로 어떤 연속형 변수들을 평균낼건지 지정해줘야함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넣어주면, IF문에 의해서 변수 weight1이 하나 더 생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[수업시간 예제 2장 p74]

1. 직접 데이터 입력해서 데이터셋 생성하기

 
직접 만들기!

+ 여기서 짚고 갈 것 ! 문자열은 왼쪽 정렬되고, 숫자는 오른쪽 정렬 된다는 점

 

2. 텍스트파일 불러오기

 

외부 데이터 불러오기 INFILE문은 뒤에서 자세히 다룰 거지만 일단 대략적으로 알아보자.

infile 하고 저장공간으로 가서 해당 txt파일을 가져온다.

그 뒤에 input으로 변수이름 설정해준다.

 

 

3. 그리고 내 라이브러리에 위에 만든 ex2를 저장하기

이건 data랑 set구문 써서 간단하게 가능 !

* data xxx: 테이블을 생성하는 명령어. xxx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만듦

* set yyy: 테이블을 불러오는 명령어. yyy라는 이름을 테이블을 불러옴

 


 

참고로 주석달기는 ctrl + / 누르면 된다.

/*주석 달기 */